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함께자라기 애자일로 가는길 - 김창준 지음

학교 학습 vs 야생 학습

야생 학습은 대부분 협력적이다. (학교 학습은 대부분 개별적이다.)

야생 학습은 대부분 비순차적이다. (학교 학습은 대부분 공부 순서가 정해져 있다.)

야생 학습은 대부분 자료에 한정이 없다. (학교 학습은 대부분 교과서, 교재, 시험 범위 등이 정해져 있다.)

야생 학습은 대부분 명확한 평가가 없다. (학교 학습은 대부분 시험이라는 명확한 평가기준이 있다.)

야생 학습은 대부분 정답이 없다. (학교 학습은 무엇이 정답이라고 하는 것이 명확하다.)

야생 학습은 대부분 목표가 불분명하고 바뀌기도 한다. (학교 학습은 대부분 합격, 자격증 같은 목표가 분명하다.)

요즘 세상은 많은 것이 불확실해지고, 기술이 발전할수록 우리의 관심은 더욱 불확실한 쪽으로 옮겨가게 된다. 이 시점에서의 적절한 학습이 중요하다.

자기계발은 복리로 증가한다. (증가 시켜야 한다. 단리로 증가하는 경우도 있음)

  • n주기 후의 나의 실력 = 원금 * 이자율^n

  • 어떻게 하면 더하기보다 곱하기를 할 수 있을 것인가.

  • 어떻게 해야 곱하는 비율을 높일 수 있는가 혹은 이자 적용 주기를 짧게 할 수 있는가

  • 자신이 이미 갖고 있는 것들을 잘 활용하라. (새로운 것을 유입시키는 데에만 지붖ㅇ하기보다 이미 갖고 있는 것들을 하이퍼링크로 촘촘히 연결하라.)

  • 외부 물질을 체화해라. (주기적인 외부자극을 받으면 좋다.)

  • 자기를 개선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생각해 보라.

  • 피드백을 자주 받아라.

  • 자신의 능력을 높여주는 도구와 환경을 점진적으로 만들어라.

당신이 제자리 걸음인 이유?

  • 의도적 수련의 필수조건, 적절한 난이도

커뮤니케이션과 애자일

  • 커뮤니케이션을 잘하는 개발자

밤샘 vs Deal

  • 밤샘을 선택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