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옵티마이저가 항상 좋은 실행 계획을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 그렇기 때문에 DBMS 서버에서는 이를 보완할 수 있도록 EXPLAIN 명령으로 옵티마이저가 수립한 실행 계획을 확인할 수 있다.
- MySQL 서버의 실행 계획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통계 정보를 살펴보고, 실행 계획을 읽는 순서와 키워드들을 살펴보자
10.1 통계 정보
- MySQL 5.7 까지는 테이블과 인덱스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실행 계획을 수립했다.
- MySQL 8.0 부터는 인덱스되지 않은 칼럼들에 대해서도 데이터 분포도를 수집해서 저장하는 히스토그램 정보가 도입됐다.
10.1.1 테이블 및 인덱스 통계 정보
- 비용 기반 최적화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는 통계 정보다.
- MySQL 서버에서는 실제 테이블 데이터의 일부를 분석해서 통계 정보를 보완하여 사용한다.
10.1.1.1 MySQL 서버의 통계 정보
- MySQL 5.6 버전부터 InnoDB 스토리지 엔진을 사용하는 테이블에 대한 통계 정보를 영구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개선됐다.
- 각 테이블의 통계 정보를 mysql 데이터베이스의 innodb_index_stats 테이블과 innodb_table_stats 테이블로 관리할 수 있게 개선됐다.
- stats_persistent 옵션에 따라 통계정보를 영구 관리할지 말지를 결정할 수 있다. (defualt 는 영구 관리)
- innodb_index_stats 테이블의 통계 정보 칼럼
- stat_name = n_diff_pfx : 인덱스가 가진 유니크한 값의 개수
- stat_name = n_leaf_pages : 인덱스의 리프 노드 페이지 개수
- stat_name = size : 인덱스 트리의 전체 페이지 개수
- n_rows : 테이블의 전체 레코드 건수
- clustered_index_size : 프라이머리 키의 크기(InnoDB 페이지 개수)
- sum_of_other_index_sizes : 프라이머리 키를 제외한 인덱스의 크기(InnoDB 페이지 개수)
- innodb_stats_persistent_sample_pages 시스템 변수
- 기본 값은 20이며, ANALYZE TABLE 명령이 실행되면 임의로 20개의 페이지를 샘플링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통계 정보 테이블에 저장하고 활용한다.
- 더 정확한 통계 정보를 수집하고자 하면 이 시스템 변수의 값을 높게 설정하면 된다.
10.1.2 히스토그램
- MySQL 8.0 버전부터 칼럼의 데이터 분포도를 참조할 수 있는 히스토그램 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10.1.2.1 히스토그램 정보 수집 및 삭제
- MySQL 8.0에서는 칼럼 단위로 히스토그램 정보가 관리된다.
- 이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ANALYZE TABLE ... UPDATE HISTOGRAM 명령을 실행해야 한다.
- information_schema 데이터베이스의 column_statistics 테이블을 select 해보면 히스토그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histogram-type
- singleton(싱글톤 히스토그램) : 칼럼값 개별로 레코드 건수를 관리하는 히스토그램, Value-Based 히스토그램 또는 도수 분포라고도 불린다.
- Equi-height(높이 균형 히스토그램) : 칼럼값의 범위를 균등한 개수로 구분해서 관리하는 히스토그램, Height-Balanced 히스토그램이라고도 불린다.
- histogram-type
10.1.2.2 히스토그램의 용도
- 히스토그램이 도입되기 전의 통계정보는 테이블의 전체 레코드 건수와 인덱스된 칼럼이 가지는 유니크한 값의 개수 정도였다.
- 히스토그램은 특정 칼럼이가지는 모든 값에 대한 분포도 정보를 가지지는 않지만 각 범위(버킷)별로 레코드의 건수와 유니크한 값의 개수 정보를 가지기 때문에 훨씬 정확한 예측을 할 수 있다.
- 히스토그램 정보가 없으면 옵티마이저는 데이터가 균등하게 분포돼 있을 것으로 예측한다. 하지만 히스토그램이 있으면 특정 범위의 데이터가 많고 적음을 식별할 수 있다.
- 각 칼럼에 대해 히스토그램 정보가 있으면 어느 테이블을 먼저 읽어야 조인의 횟수를 줄일 수 있을지 옵티마이저가 더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10.1.2.3 히스토그램과 인덱스
- MySQL 서버에서는 쿼리의 실행 계획을 수립할 때 사용 가능한 인덱스들로부터 조건절에 일치하는 레코드 건수를 대략 파악하고 최종적으로 가장 나은 실행 계획을 선택한다.
- 레코드 건수를 예측하기 위해 옵티마이저는 실제 인덱스의 B-Tree를 샘플링해서 살펴본다. (인덱스 다이브)
- 인덱스된 칼럼을 검색 조건으로 사용하는 경우 그 칼럼의 히스토그램은 사용하지 않고 실제 인덱스 다이브를 통해 직접 수집한 정보를 활용한다. 실제 검색 조건의 대상 값에 대한 샘플링을 실행하는 것이므로 항상 히스토그램보다 정확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 히스토그램은 주로 인덱스되지 않은 칼럼에 대한 데이터 분포도를 참조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10.1.3 코스트 모델(Cost Model)
- 전체 쿼리의 비용을 계산하는 데 필요한 단위 작업들의 비용
- 디스크로부터 데이터 페이지 읽기
- 메모리(InnoDB 버퍼 풀)로부터 데이터 페이지 읽기
- 인덱스 키 비교
- 레코드 평가
- 메모리 임시 테이블 작업
- 디스크 임시 테이블 작업
- 위의 각 단위 작업의 비용에 대한 값을 변경할 수 있지만 일반저긍로 기본 값을 유지하자
10.2 실행 게획 확인
- MySQL 서버의 실행 계획은 DESC 또는 EXXPLAIN 명령으로 확인할 수 있다.
10.2.1 실행 계획 출력 포맷
- FORMAT 옵션을 사용해 실행 계획의 표시 방법을 JSON이나 TREE, 단순 테이블 형태로 선택할 수 있다.
10.2.2 쿼리의 실행 시간 확인
- EXPLAIN ANALYZE 기능을 통해 쿼리의 실행 계획과 단계별 소요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10.3 실행 계획 분석
- EXPLAIN 명령의 결과로 출력되는 실행 계획이 어떤 접근 방법을 사용하여 최적화를 수행하는지, 그리고 어떤 인덱스를 사용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 표의 각 라인은 쿼리 문장에서 사용된 테이블(서브쿼리로 임시 테이블을 생성한 경우 그 임시 테이블까지 포함)의 개수만큼 출력된다.
- 실행 순서는 위에서 아래로 순서대로 표시된다.
- 출력된 실행 계획에서 위 쪽에 출력된 결과일수록 쿼리의 바깥(Outer) 부분이거나 먼저 접근한 테이블이고, 아래쪽에 출력된 결과일수록 쿼리의 안쪽(Inner) 부분 또는 나중에 접근한 테이블이다.
10.3.1 id 칼럼
- id 칼럼은 단위 SELECT 쿼리별로 부여되는 식별자 값이다.
- SELECT 문장은 하나인데, 여러 개의 테이블이 조인되는 경우는 id 값이 증가하지 않고 같은 id 값이 부여된다.
- 실행 계획의 id 칼럼이 테이블의 접군 순서를 의미하지는 않음을 주의하자
10.3.2 select type 칼럼
- SELECT 쿼리가 어떤 타입의 쿼리인지 표시되는 칼럼
10.3.2.1 SIMPLE
- UNION이나 서브쿼리를 사용하지 않는 단순한 SELECT 쿼리인 경우
- 쿼리 문장이 복잡하더라도 실행 계획에서 SELECT_TYPE이 SIMPLE인 단위 쿼리는 하나만 존재한다.
- 일반적으로 제일 바깥 SELECT 쿼리가 SIMPLE로 표시된다.
10.3.2.2 PRIMARY
- UNION이나 서브쿼리를 가지는 SELECT 쿼리의 실행 계획에서 가장 바깥쪽에 있는 단위 쿼리는 PRIMARY로 표시된다.
10.3.2.3 UNION
- UNION으로 결합하는 단위 SELECT 쿼리 가운데 첫 번째를 제외한 두 번째 이후 단위 SELECT 쿼리는 UNION으로 표시된다.
10.3.2.4 DEPENDENT UNION
- UNION 또는 UNION ALL 로 결합하는 쿼리가 외부 쿼리에 의해 영향을 받을 때 내부 쿼리에 DEPENDENT UINON으로 표시된다.
- IN 절에 UNION이 들어있는 경우
10.3.2.5 UNION RESULT
- UNION 결과를 담아두는 임시 테이블을 가리킨다.
10.3.2.6 SUBQUERY
- FROM절 이외에서 사용되는 서브쿼리만을 의미한다.
- FROM절에 사용된 서브쿼리는 select_type이 DERIVED로 표시된다.
10.3.2.7 DEPENDENT SUBQUERY
- 서브쿼리가 바깥쪽(OUTER) SELECT 쿼리에서 정의된 칼럼을 사용하는 경우 안쪽(Inner) 서브쿼리 결과가 바깥쪽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DEPENDENT가 붙는다.
10.3.2.8 DERIVED
- FROM절에서 서브쿼리가 사용되면서 단위 SELECT 쿼리의 실행 결과로 메모리나 디스크에 임시 테이블을 생성하는 경우
- 쿼리를 튜닝하기 위해 실행 계획의 DERIVED가 있는지 확인한다. 서브쿼리를 조인으로 해결할 수 있다면 서브쿼리 보다 조인을 권장한다.
10.3.2.9 DEPENDENT DERIVED
- FROM 절 서브쿼리에서 외부 칼럼을 참조할 때 (LATERAL JOIN 기능에서만 가능)
10.3.2.10 UNCACHEABLE SUBQUERY
- 하나의 쿼리 문장에 조건이 똑같은 서브쿼리가 실행될 때는 이전의 실행 결과를 그대로 캐시 공간에 담아두어 재사용한다.
- 그러나 서브쿼리에 포함된 요소에 의해 캐시 자체가 불가능 할 수 있는데 이 때 UNCACHEABLE SUBQUERY로 표시된다.
- 사용자 변수가 서브쿼리에 사용된 경우
- NOT-DETERMINISTIC 속성의 스토어드 루틴이 서브쿼리 내에 사용된 경우
- UUID()나 RAND()와 같이 결괏값이 호춣할 때마다 달라지는 함수가 서브쿼리에 사용된 경우
10.3.2.11 UNCACHEABLE UNION
- UNCACHEABLE + UNION
10.3.2.12 MATERIALIZED
- 서브쿼리의 내용을 임시 테이블로 구체화(Materialization)한 후 임시 테이블을 조인하는 형태로 최적화 하는 경우
- 서브쿼리 부분이 먼저 처리되어 임시 테이블로 구체화한다는 것을 이 select_type으로 알 수 있다.
10.3.3 table 칼럼
- MySQL 서버의 실행계획은 단위 SELECT 기준이 아니라 테이블 기준으로 표시된다.
EXPLAIN SELECT NOW();
EXPLAIN SELECT NOW() FROM DUAL;
- 위의 두 예제와 같이 별도의 테이블을 사용하지 않는 SELECT 쿼리의 경우 table 칼럼에는 NULL로 표시된다.
- 실제 DUAL 이라는 테이블은 존재하지 않지만 내부적으로 DUAL이 있는 것처럼 작동한다.
- 되도록이면 DUAL 예약어는 사용하지 말자 (백틱으로 감싸서 사용해야 한다.)
- table 칼럼에 <> 로 감싸져 있는 경우에 해당 테이블은 임시 테이블임을 의미한다.
- <> 안에 표시되는 숫자는 SELECT 쿼리의 id를 지칭한다.
SELECT *
FROM
(SELECT de.emp_no FROM dept_emp de GROUP BY de.emp_no) tb,
employees e
WHERE e.emp_no=tb.emp_no;
- 지금까지 살펴본 실행 계획의 id, select_type, table 칼럼은 실행 계획의 각 라인에 명시된 테이블이 어떤 순서로 실행되는지를 판단하는 근거를 표시해준다.
- 위의 실행 계획을 분석해보자
- 첫 번쨰 라인의 테이블이 라는 것으로 보아 id 2번 라인이 먼저 실행되고 그 결과가 임시테이블로 준비 되어야 한다.
- 세 번째 라인에서 select_type 이 DERIVED 인 것으로 보아 dept_emp 테이블을 읽어서 파생 테이블을 생성함을 알 수 있다.
- 세 번쨰 라인에서 생성된 결과를 첫 번쨰 라인에서 사용한다.
- 첫 번쨰 라인과 두 번째 라인의 id 가 같다는 것은 2개의 테이블이 조인됨을 추측할 수 있고 1번 라인의 테이블이 먼저 표시되었으므로 가 드라이브 테이블 e 가 드리븐 테이블임을 알 수 있다.
10.3.4 partitions 칼럼
- MySQL 8.0 버전 부터는 EXPLAIN 명령으로 파티션 관련 실행 계획까지 모두 확인할 수 있다.
- partitions 칼럼을 알아보기 위해 실제로 파티션 테이블을 만들어보고 어떻게 동작하는지 살펴보자
- employees_2 파티션 테이블을 생성한다.
- hire_date 칼럼 값을 기준으로 5년 단위로 파티션을 나눈다.
- 파티션 관련 제약 사항 : 파티션 키로 사용되는 칼럼은 프라이머리 키를 포함한 모든 유니크 인덱스의 일부여야 한다.
- employee 테이블의 모든 레코드를 복사한다.
- 쿼리 동작 확인
- 파티션이 여러 개인 테이블에서 불필요한 파티션을 뺴고 쿼리를 수행하기 위해 접근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는 테이블만 골라내는 과정을 파티션 프루닝(partition pruning)이라 한다.
- 파티션을 참조하는 쿼리(파티션 키 칼럼을 where 조건으로 가진)의 경우 옵티마이저가 쿼리 처리를 위해 필요한 파티션들의 목록만 모아서 실행 계획의 partitions 칼럼에 표시해준다.
- 위의 실행 계획에서 type 칼럼 값이 ALL 로 표시되어있는데 이는 풀 테이블 스캔으로 처리 됨을 의미한다.
- 파티션은 물리적으로 개별 테이블 저장 공간을 가진다. 따라서 각 파티션의 풀 테이블 스캔을 실행한다.
10.3.5 type 칼럼
- MySQL 실행 계획에서 type 이후의 칼럼은 MySQL 서버가 각 테이블의 레코드를 어떤 방식으로 읽었는지를 설명한다.
- 인덱스를 사용하여 읽었는지 or 풀 테이블 스캔으로 읽었는지
- Type 칼럼은 실행계획에서 각 테이블의 접근 방법을 나타낸다.
- 인덱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type 칼럼은 반드시 체크해야 할 중요한 정보다.
- 앞으로 설명할 12개의 접근 방법 중 ALL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인덱스를 사용하는 접근 방법이다.
- ALL은 인덱스를 사용하지 않고, 테이블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서 레코드를 가져오는 풀 테이블 스캔 접근 방법을 의미한다.
- 다음의 순서는 성능이 빠른 순서대로 나열된 것이다. 옵티마이저는 이러한 접근 방법과 비용을 계산하여 최소의 비용의 접근 방법을 선택해 쿼리를 처리한다.
10.3.5.1 system
- 레코드가 1건 or 한 건도 존재하지 않는 테이블을 참조하는 형태의 접근방법
- InnoDB 스토리지 엔진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10.3.5.2 const
- 테이블의 레코드 건수와 관계없이 쿼리가 프라이머리 키나 유니크 키 칼럼을 이용하는 WHERE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반드시 1건을 반환하는 쿼리의 처리 방식을 const라고 한다.
- 다른 DBMS 에서는 유니크 인덱스 스캔이라고도 표현한다.
- 다중 칼럼으로 구성된 프라이머리 키나 유니크 키 중에서 인덱스의 일부 칼럼만 조건으로 사용할 때는 const 타입의 접근 방법을 사용할 수 없다.
- 다음과 같이 프라이머리 키의 일부만 조건으로 사용할 때는 type 칼럼에 const가 아닌 ref로 표시된다.
- 하지만 프라이머리 키나 유니크 인덱스의 모든 칼럼을 and 조건으로 where 절에 명시하면 다시 const 접근 방법을 사용한다.
- 왜 const 인가?
- MySQL 옵티마이저는 const type의 쿼리를 통쨰로 상수화한다.
10.3.5.3 eq_ref
- 여러 테이블이 조인되는 쿼리의 실행 계획에서 조인에서 처음 읽은 테이블의 칼럼값을, 그 다음 읽어야 할 테이블의 프라이머리 키나 유니크 키 칼럼의 검색 조건에 사용할 때를 eq_ref라고 한다.
- 두 번째 이후에 읽는 테이블에서 반드시 1건만 존재한다는 보장이 있어야 사용할 수 있는 접근 방법이다.
- 이 때, 두 번째 이후에 읽는 테이블의 type 칼럼에 eq_ref가 표시된다.
- 다음 예제 쿼리의 실행 계획을 살펴보자
- 첫 째 라인과 둘 째 라인의 id 값이 1로 같으므로 두 테이블이 조인으로 실행된다.
- dept_emp 테이블이 위에 있으니 dept_emp 테이블을 먼저 읽고 e.emp_no=de_emp_no 조건을 이용해 employees 테이블을 검색한다.
- employees 테이블의 키가 emp_no 이므로 두 번째 라인의 type 칼럼이 eq_ref로 표시된다.
10.3.5.4 ref
- 인덱스의 종류와 관계없이 동등(Equal) 조건으로 검색할 때 ref 접근 방법이 사용된다.
- ref 타입은 반환되는 레코드가 반드시 1건이라는 보장이 없으므로 const나 eq_ref보다는 빠르지 않다. (그치만 매우 빠른 조회 방법 중 하나이다.)
EXPLAIN
SELECT * FROM dept_emp WHERE dept_no='d005';
- dept_emp 테이블의 프라이머리 키가 (dept_no, emp_no) 라 할때 일부만 동등 조건으로 명시됐기 때문에 조건에 일치하는 레코드가 1건이라는 보장이 없다.
- 따라서 const 대신 ref 접근 방법이 사용되었다.
10.3.5.5 fulltext
- MySQL 서버의 전문 검색(Full-text Search) 인덱스를 사용해 레코드를 직접 읽는 방식이다.
- 쿼리에서 전문 인덱스를 사용하는 조건과 그 이외의 일반 인덱스를 사용하는 조건을 함께 사용하면 일반 인덱스의 접근 방법이 const, eq_ref, ref가 아니면 일반적으로 MySQL 옵티마이저는 전문 인덱스를 사용하는 조건을 선택한다.
10.3.5.6 ref_or_null
- ref 접근 방법과 같은데, NULL 비교가 추가된 형태다.
- 접근 방법의 이름 그대로 ref 방식 또는 NULL 비교(IS NULL) 접근 방법을 의미한다.
10.3.5.7 unique_subquery
- WHERE 조건절에서 사용되는 IN(subquery) 형태의 쿼리를 위한 접근 방법이다.
- unique_subquery 의미 그대로 중복되지 않는 유니크한 값만 반환할 때 이 접근 방법을 사용한다.
10.3.5.8 index_subquery
- IN(subquery) 또는 IN (상수 나열) 형태의 조건에서 중복된 값이 있을 수 있지만 인덱스를 이용해 중복된 값을 제거할 수 있을 때 이 접근 방법을 사용한다.
- 위의 unique_subquery 와의 차이는 중복된 값이 있는지 여부이다.
10.3.5.9 range
- 인덱스 레인지 스캔 형태의 접근 방법이다.
- range는 인덱스를 하나의 값이 아니라 범위로 검색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주로 “<, >, IS NULL, BETWEEN, IN, LIKE” 등의 연산자를 이용해 인덱스를 검색할 때 사용된다.
- range 접근 방법도 상당히 빠르고 최적의 성능이 보장된다고 볼 수 있다.
10.3.5.10 index_merge
- 2개 이상의 인덱스를 이용해 각각의 검색 결과를 만들어낸 후, 그 결과를 병합해서 처리하는 방식
- 특징
- 여러 인덱스를 읽어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range 접근 방법보다 효율성이 떨어진다.
- 전문 검색 인덱스를 사용하는 쿼리에서는 index_merge가 적용되지 않는다.
- index_merge 접근 방법으로 처리된 결과는 항상2개 이상의 집합이 되기 때문에 그 두 집합의 교집합이나 합집합, 또는 중복 제거와 같은 부가적인 작업이 더 필요하다
10.3.5.11 index
- index 접근 방법은 인덱스를 처음부터 끝까지 읽는 인덱스 풀 스캔을 의미한다.
- 풀 테이블 스캔 방식과 비교했을 때 비교하는 레코드 건수는 같지만 인덱스의 크기가 작으므로 풀 테이블 스캔보다 빠르게 처리되며, 정렬된 인덱스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어서 효율적이다.
10.3.5.12 ALL
- 풀 테이블 스캔을 의미하는 접근 방법이다.
- 가장 마지막에 선택하는 가장 비효율적인 방법
- 풀 테이블 스캔이나 인덱스 풀 스캔 시 한꺼번에 많은 페이지를 읽어 들이는 리드 어헤드(Read Ahead) 기능을 제공한다.
- 일반적으로 index와 ALL 접근 방법은 작업 범위를 제한하는 조건이 아니므로 빠른 응답을 보내는 웹 서비스나 온라인 트랜잭션 처리 환경에는 적합하지 않다.
10.3.6 possible_keys 칼럼
- 옵티마이저가 최적의 실행 계획을 만들기 위해 후보로 선정했던 인덱스의 목록이다.
- 실제 실행 계획에서 이 칼럼에 모든 인덱스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아서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칼럼이다.
- 무시해도 좋다.
- 이 칼럼에 나온다고 인덱스를 사용했다고 판단하지 말자.
10.3.7 key 칼럼
- key 칼럼에 표시되는 인덱스는 최종 선택된 실행 계획에서 사용하는 인덱스이다.
- 쿼리를 튜닝할 때는 이 칼럼에 의도했던 인덱스가 나오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 PRIMARY 또는 인덱스 이름으로 표시된다.
10.3.8 key_len 칼럼
- 다중 칼럼으로 만들어진 인덱스에서 쿼리를 처리하기 위해 몇개의 칼럼이 사용됐는지를 판단할 때 사용되는 칼럼이다.
- 때문에 중요한 칼럼 중 하나이다.
- 바이트 단위로 표시된다.
- 위의 쿼리에서 프라이머리 키는 (dept_no, emp_no)로 구성된다.
- dept_no 칼럼의 타입이 CHAR(4) 이기 때문에 프라이머리 키에서 앞쪽 16바이트만 유효하게 사용했다는 의미이다.
- utf8mb4 문자 집합에서 문자 하나가 차지하는 공간이 1 ~ 4 바이트로 가변적이지만 MySQL 서버에서 메모리 공간을 할당해야 할 때는 고정 4바이트로 계산한다.
- 따라서 16바이트가 표시되었다.
- 위의 쿼리는 dept_no와 emp_no 각각의 조건을 가지고 있다.
- dept_emp 테이블의 emp_no 칼럼 타입이 INTEGER 일때 4바이트를 차지하므로 위의 쿼리는 dept_no, emp_no를 사용함을 알 수 있다.
10.3.9 ref 칼럼
- 접근 방법이 ref, eq_ref일 때 참조 조건(Where 절의 동등 비교)으로 어떤 값이 제공됐는지 보여준다.
-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 칼럼
- 위의 실행계획에서 ref 칼럼이 조인 대상 칼럼의 이름으로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 다만 조인 조건에 산술 표현식을 넣으면 ref 값이 조인 칼럼 이름이 아닌 func 라고 표시 될 수도 있다.
- 위의 쿼리처럼 명시적으로 값을 변환할 때뿐만 아니라 MySQL 서버가 내부적으로 값을 변환해야 할 때도 ref 칼럼에는 func가 출력된다.
- 숫자 타입의 칼럼과 문자열 타입을 조인하는 경우 등 (error?)
- 이러한 변환을 하지 않도록 조인 칼럼의 타입을 일치시키는 편이 좋다.
10.3.10 rows 칼럼
- MySQL 옵티마이저는 가능한 처리 방식이 얼마나 많은 레코드를 읽고 비교해야 하는지 예측해서 비용을 산정한다.
- rows 칼럼값은 실행 계획의 효율성 판단을 위해 예측했던 레코드 건수를 보여준다.
- 이 값은 통계 정보를 참조해 MySQL 옵티마이저가 산출해 낸 예상값이라서 정확하지는 않다.
- 이 값은 반환하는 레코드를 예측한 수가 아니라 쿼리를 처리하기 위해 체크한 레코드 수를 의미한다.
- 그래서 실행 계획의 rows 칼럼에 출력되는 값과 실제 쿼리 결과 반환된 레코드 건수는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10.3.11 filtered 칼럼
- 각 테이블에서 일치하는 레코드 개수를 가능하면 정확히 파악해야 더 효율적인 실행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특히나 조인을 사용할 때 일치하는 레코드 수가 적은 테이블이 드라이빙 테이블로 선정되어야 하는데 이 때 rows 칼럼 * filtered 칼럼 의 결과로 비교한다.
- filtered 칼럼 값은 필터링되고 남은 레코드의 비율을 의미한다.
10.3.12 Extra 칼럼
- Extra 칼럼에는 성능에 관련된 중요한 내용이 자주 표시된다.
- 내부적인 처리 알고리즘에 대해 조금 더 깊이있는 내용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다.
10.3.12.1 const row not found
- const 접근 방법으로 테이블을 읽었지만 실제로 해당 테이블에 레코드가 1건도 존재하지 않을 때 표시된다.
10.3.12.2 Deleting all rows
- Where 조건절이 없는 DELETE 문장의 실행 계획에서 자주 표시된다.
10.3.12.3 Distinct
- 다음과 같이 Distinct 키워드를 사용하였을 때 표시된다.
10.3.12.4 FirstMatch
- 세미 조인의 FirstMatch 전략을 사용한다면 FirstMatch(table_name) 메시지를 출력한다.
- 함께 표시되는 테이블명은 기준 테이블을 의미한다.
10.3.12.5 Full scan on NULL key (?)
- col1 IN (SELECT col2 FROM …) 과 같은 조건을 가진 쿼리에서 col1의 값이 NULL이 되면 표시된다.
10.3.12.6 Impossible Having
- Having 절의 조건을 만족하는 레코드가 없을 때
- 쿼리 점검 요망
10.3.12.7 Impossible Where
- Where 조건이 항상 FALSE가 될 수밖에 없을 때
10.3.12.8 LooseScan
- 세미 조인의 LooseScan 최적화 전략이 사용될 때
10.3.12.9 No matching min/max row
- MIN() 이나 MAX() 와 같은 집합 함수가 있는 쿼리의 조건절에 일치하는 레코드가 한 건도 없을 때
10.3.12.10 no matching row in const table
- 조인에 사용된 테이블에서 const 방법으로 접근할 때 일치하는 레코드가 없는 경우
10.3.12.11 No matching rows after partition pruning
- 해당 파티션에서 UPDATE하거나 DELETE 할 대상 레코드가 없을 때
10.3.12.12 No tables used
- FROM 절이 없는 쿼리 문장이나 FROM DUAL 형태의 쿼리를 실행 할 경우
10.3.12.13 Not exists
- A 테이블에는 존재하지만 B 테이블에는 없는 값을 조회해야 하는 경우
- 주로 NOT IN(subquery) 형태나 NOT EXISTS 연산자를 사용한다.
- 이를 outer 조인으로 처리하면 빠른 성능을 낼 수 있다. (쿼리가 어려움)
- 아우터 조인을 이용해서 안티 조인을 수행하는 쿼리에서 Not exists 메시지가 표시된다.
10.3.12.14 Plan isn’t ready yet
- 다른 커넥션에서 실행 중인 쿼리의 실행 계획을 살펴볼 때 쿼리의 실행 계획을 수립하지 못한 상태에서 조회 시에 위와 같이 표시된다.
10.3.12.15 Range checked for each record(index map: N)
EXPALIN
SELECT *
FROM employees e1, employees e2
WHERE e2.emp_no >= e1.emp_no
- 위의 쿼리와 같이 레코드마다 인덱스 레인지 스캔을 하게 되는 경우
- 괄호 안의 index map: N 은 인덱스를 사용할지 말지 판단하게 되는 인덱스를 의미한다.
10.3.12.16 Recursive
- 재귀 쿼리
10.3.12.17 Rematerialize
- 래터럴 조인으로 조인되는 테이블은 선행 테이블의 레코드별로 서브쿼리를 실행해서 그 결과를 임시 테이블에 저장한다. (Rematerializing)
10.3.12.18 Select tables optimized away
- MIN() 또는 MAX() 만 SELECT 절에 사용되거나 GROUP BY로 MIN(), MAX()를 조회하는 쿼리가 인덱스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1건만 읽는 최적화가 적용될 때
10.3.12.19 Start temporary, End Temporary
- 세미 조인 최적화 중에서 Duplicate Weed-out 최적화 전략이 사용될 때
10.3.12.20 unique row not found
- 두 개의 테이블이 각각 유니크 칼럼으로 아우터 조인을 수행하는 쿼리에서 아우터 테이블에 일치하는 레코드가 존재하지 않을 때
10.3.12.21 Using filesort
- Order by 처리를 인덱스로 할 수 없을 때 레코드를 조회하고 메모리 버퍼에 복사해 정렬을 하게된다.
10.3.12.22 Using index(커버링 인덱스)
- 인덱스만 읽어서 쿼리를 모두 처리할 수 있을 때
10.3.12.23 Using index condition
- 인덱스 컨디션 푸시 다운 최적화를 사용할 때
10.3.12.24 Using index for group-by
- 타이트 인덱스 스캔을 통한 GROUP BY 처리
- 루스 인덱스 스캔을 통한 GROUP BY 처리
10.3.12.25 Using index for skip scan
- 인덱스 스킵 스캔 최적화를 사용할 때
10.3.12.26 Using join buffer(Block Nested Loop), Using join buffer(Batched Key Access), Using join buffer(hash join)
- MySQL 옵티마이저는 조인되는 두 테이블에 있는 각 칼럼에서 인덱스를 조사하고 인덱스가 없는 테이블이 있으면 그 테이블을 먼저 읽어서 조인을 실행한다.
- 드리븐 테이블의 조인 칼럼에 적절한 인덱스가 없다면 서버는 블록네스티드 루프조인이나 해시조인을 사용한다.
10.3.12.27 Using MRR
- MySQL 엔진은 여러 개의 키 값을 한 번에 스토리지 엔진으로 전달하고, 스토리지 엔진은 넘겨받은 키 값들을 정렬해서 최소한의 페이지 접근만으로 필요한 레코드를 읽을 수 있게 최적화한다.
- 위의 실행 계획은 salaries 테이블에서 읽은 레코드를 이용해 employees 테이블 검색을 위한 조인 키 값들을 모아서 MRR 엔진으로 전달하고, MRR 엔진은 키 값을 정렬해서 employees 테이블을 최적화된 방법으로 접근한다.
10.3.12.28 Using sort_union(…), Using union(…), Using intersect(…)
- index_merge 접근 방법으로 실행되는 경우 두 개의 인덱스를 어떻게 병합했는지를 표시한다.
- sort_union : 프라이머리 키만 먼저 읽어서 정렬하고 병합한다.
10.3.12.29 Using temporary
- MySQL 서버에서 쿼리를 처리할 때 중간 결과를 담아 두기 위해 임시 테이블을 생성하는 경우 표시된다.
- 메모리 or 디스크에 생성되는데 실행 계획만으로는 알 수 없다.
10.3.12.30 Using Where
- MySQL 스토리지 엔진에서 얻어온 레코드를 MySQL 엔진에서 별도로 가공하는 경우에만 Using where 코멘트가 표시된다.
10.3.12.31 Zero Limit
- MySQL 서버에서 데이터 값이 아닌 쿼리 결괏값의 메타데이터만 필요한 경우 쿼리 마지막에 LIMIT 0를 사용하면 된다.
- 옵티마이저도 이러한 사용자의 의도를 알아채고 레코드를 읽지 않고 메타정보만 반환한다.
- 이 때, Zero limit 메시지가 출력된다.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l MySQL 9장 옵티마이저와 힌트 #2 (9.3~) (0) | 2022.07.10 |
---|---|
Real MySQL 9장 옵티마이저와 힌트 #1 (~9.2) (0) | 2022.06.21 |
Real MySQL 8장 인덱스 #2 (8.6~) (0) | 2022.06.10 |
커넥션풀과 데이터소스 이해 (0) | 2022.06.05 |
JDBC란? (SQL Mapper, ORM) (0) | 2022.06.03 |